콜/풋 옵션 매도주문 시 행사가별 주문 증거금을 제공하는 화면입니다.
선택 영역
조회할 시장을 선택하고, 콜/풋 옵션의 행사가를 선택합니다.
거래조회 단위를 선택합니다.(수량/금액)
매도할 수량 및 금액을 입력한 후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용자가 선택한 행사가에 따른 현재가, (전일)거래량/거래금액/미결제, 전일종가 등등이 제공됩니다.
사용자가 선택한 행사가에 따른 콜/풋 옵션의 현재가, 주문증거금, 전일 종가, 최대이론가, 조정이론가를 제공합니다.
조회 영역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행사가에 따른 콜/풋 매도 시 주문 증거금이 제공됩니다.
델타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에 대한 옵션가격의 민감도를 말하며, 기초자산 가격이 1단위 변동할 때 옵션가격의 변동정도로 측정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의 델타가 0.7이라고 할 경우, 삼성전자 가격이 1만큼 상승할 때, 콜옵션의 가격은 0.7만큼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델타헤지는 자신이 보유한 포지션의 델타를 영(0)으로 만듦으로써, 기초자산 가격변동에 따른 보유포지션 가격변동위험을 제거하는 자산관리기법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 1계약을 매도한 경우, 델타가 0.7이라면 옵션매도자는 0.7단위의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옵션매도에 따른 가격변동위험을 상쇄할 수 있게 된다.감마
금융자산가격의 1단위 변동에 대한 옵션 델타가 변동하는 양을 가리킨다.베타
개별 기업의 투자민감도를 뜻하는 용어로 개별 기업의 위험을 뜻하기도 한다. 시장의 움직임을 1로 규정했을 때 각 기업이 시장의 움직임에 비해 얼마나 민감한지를 보여주는 투자 지표를 베타(β)라고 한다.로우
옵션모형에서 로우(rho)는 이자율 변화에 대한 포트폴리오 가치의 변화 비율을 의미하는데, 이자율 변동에 따른 포트폴리오 가치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쎄타
시간변화에 따른 옵션의 시간가치의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옵션의 잔존기간이 1일 줄어드는데 따라 감소하는 시간가치를 쎄타라고 한다. 옵션의 시간가치는 만기가 가까워짐에 따라 급속히 감소하므로 쎄타의 값은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급격히 커진다.내재변동성
상품의 실제 거래가격이 향후 1년 동안 얼마나 변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값으로 Black-Scholes모형 등 옵션가격결정모형에 옵션의 시장가격을 대입하여 산출한 기초자산 가격의 변동성으로 과거의 역사적 변동성과 구별하여 implied volatility라고도 한다. 보통 투자자가 가격이 크게 변한다고 여길 경우 대상상품의 거래가격은 높아지게 되며 덩달아 내재변동성도 높아진다.